라벨이 갤러리인 게시물 표시

(성산) 김영갑갤러리두모악 ★★★★

이미지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삼달로 137   올레길 3-A 코스 중간 스탬프 지점. 제주의 풍경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김영갑 작가님의 렌즈를 통해 그 아름다움을 새삼 다시 느끼게 해주는 경험을 할 수 있다. 작품 수가 조금 적은 것이 아쉽다. 입장료 5천원. 2025-08-29 FRI 이번 올레길은 제대로 걸어보기로 했으니, 문화생활도 놓칠 수 없지. 올레길 3-A코스(게시예정) 중간스탬프 지점에 김영갑 갤러리 두모악이 있다. 아주 오래전 수학여행이던가? 그럼 너무 오래전인데. 어쨌든 올레길 걷기 전 관광으로 제주도에 왔다가 들렀던 흐릿한 기억이 있다. 그래서 지난번 처음으로 이 코스를 지날 때는 3-A, 3-B를 하루에 끝나는 급한 일정이기도 했고, 오래전이지만 와 본 곳이라며 그냥 지나쳤는데, 이번엔 천천히 둘러보기로 했다.  ‘두모악’(頭毛岳)은 동해안 갯마을에 살았던 제주도 해녀들이었다 주차장을 지나치는데 5~60대쯤 되보이는 관광객 남자 하나, 여자 두 분이 차림새 요상한 나를 관심있게 쳐다보신다. 그 중 남자분이 "어디서 오신거에요?" "서울에서 왔습니다." "아니, 여기를 걸어오신 거에요?" 옆에서 여자분이 거든다. "어머 역시 젊어서 그래" 다시 남자분이 "실례지만 나이가 어떻게 되세요?" "마흔여덟입니다."라니까 여자분이 말을 바꾸신다. "운동을 많이 하시나봐." 남자분이 근육을 확인하려는 듯 아무말 없이 내 팔뚝을 덥석 잡는다. 저는 괜찮긴 한데 요즘 이러시면 큰일나요.  관람료는 5천.  키오스크로 직접 매표하는 시스템. 검표원은 없지만 키오스크 뒤 사무실에 일하는 분이 계시긴 하다.  김영갑 작가님은 제주도를 들락날락 하면서 이름은 많이 들었지만 사실 많이 아는 바가 없다. 다만 입구에 걸려 있는 이 사진이 상당히 인상 깊었다.  내가 사랑하는 제주의 모습들이 특히 빛나던 찰나를 포착한 작품들을 보는 것이 참 즐거웠다. ...

(서귀포) 이중섭 미술관 ★★★★

이미지
제주 서귀포시 이중섭로 27-3 무료나 다름 없는 1500원 입장료로 관람 가능. 전용 주차장도 있으나 관람객 외 무단주차가 꽤 있는 듯. 2024-05-19 SUN 이중섭 문화거리를 지나만 다니다가 이중섭미술관 방문.  시내 치고는 주차장이 넓은 펴이지만 그래도 방문객이 많으면 부족할 수도 있어 보인다. 게다가 방문객인지 확인이 어려워 아마 그냥 근처 왔다가 주차하는 사람이 더 많은 듯한 분위기다. 차단기 없이 도로에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구조고 실제로도 방문객 여부는 확인하지 않았다.  "1951년 1월 15일, 정부의 수용피란민 소개정책으로, 그나마 조카 이영진이 있어 연고가 있다는 제주도로 보내졌다. 그러나 제주도에 특별한 연고가 있는 것도 아니어서 어디에 머물지도 정하지 못하다가, 어떤 노인이 "서귀포가 좋다"고 하는 말을 듣고 몇 날을 걸어갔다. 서귀포의 '알자리 동산 마을'에 도착하자 마을 반장 송태주·김순복 부부가 본인들의 집 곁방(4.6㎡, 1.4평) 한 칸을 내어주어 네 식구가 살았다.(현 서귀포시 정방동/서귀동 512-1번지) 여기서도 그의 가족은 별다른 생계수단이 없어 피난민에게 주는 약간의 배급을 받고, 종교단체의 지원을 받으며, 게를 잡고 한라산에서 부추를 뜯으며 힘들게 삶을 이어갔다. (그래서 이 시기 꽃게와 물고기와 좁은 방에서 얼킨 가족들이 그림의 주요 주제가 된다.) 그래도 몹시 춥고 피난민들로 북새통을 이루던 부산과 달리 제주도는 그나마 덜 춥고 평화로워 생활은 자유롭고 즐거웠으며, 바다가 훤히 내려다 보이는 이 언덕배기에서 산 경험이 창작에 도움이 되기도 했다고 한다. 10월엔 대한오페라단 창작오페라 '콩지팟지'의 무대장치-소품제작에 참여하는 소일거리를 얻기도 한다. 이 당시 이중섭이 기거하던 정방동의 송태주·김순복 부부의 집과 방은 '이중섭거주지'라는 이름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그 뒤에는 2002년 이중섭미술관이 개관했다." https://n...